BigJeon Android 개발 블로그

2024 2회차 정보처리기사 후기 본문

History

2024 2회차 정보처리기사 후기

Big-Jeon 2024. 12. 2. 15:21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정보처리 기사 실기 합격 후기와 난이도, 준비 방법을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2...

1. 자격조건

우선 정보처리기사 시험 자격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사 자격증의 경우 크게 3가지가 있는데요!

1. 4년제 졸업

2. 전문대학 졸업 + 경력 도합 4년ex.2+2,31 또는 산업기사 취득 후 1년 실무 경력

3. 학점인증재?

 

이렇게 3가지가 있는데,

저는 2년제 대학교를 졸업하였구 약 3년간의 경력을 쌓아 조건을 충족시켰습니다!!!!

2!

 

2. 시험 방식

우선 시험의 경우 연 3회가 기본으로 있습니다!

1 ~ 4월 : 1회 정기 기사 시험

5 ~ 9월 : 2회 정기  기사 시험

10 ~ 12월: 3회 정기 기사 시험

시험 날짜의 경우 살짝살짝 다르기 떄문에 혹 취득 의사가 있으시다면

1달정도 여유가있는 시험을 선정하여 보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저같은 경우 6월에 2회차 필기 시험이 있었기 떄문에 5월 중순부터 준비해서 2회차 시험을 신청하였습니다!

 

시험의 경우 2가지 형식으로 나뉘는데

1. 필기 시험5/60/40

2. 실기 시험25/60

이렇게 2가지 형식으로 나뉩니다!

 

필기 시험의 경우 CBT 형식으로 각 자리에 있는 컴퓨터를 활용하여 진행합니다!

실기 시험의 경우 종이로된 문제지를 현장에서 수령하여 직접 볼펜을 활용하여 써나가야합니다!

....

3. 필기 시험

필기의 경우 문제은행식으로 출제가 됩니다!

개인적으로 정말 공부가 목적이라고 하시고, 실기도 편하게 보고싶다고 하신다면 정보처리기사 필기 문제집을 구매해서 용어, 의미 등을 머릿속에서 정리 해가면서 3번정도 반복해서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필자는 공부가 목적이였기 떄문에 3번까지는 보지 못하였고, 2번정도 훑어 본거같습니다!

 

막 노트에 다 옭겨적으며 달달달 외우지는 않았으나, 해당 용어가 무엇인지? 어디에서 사용하는 것인지? 등을 머릿속에서 정리해가며 공부했습니다. 또한 시험 1회차 정독을 마치셨다면, 문제집에 있는 기출 모의고사를 풀어보는것을 매우 추천드립니다.

 

필기는 문제 은행식이기때문에 공부도 공부지만 자주 풀어보고 다양한 문제 방식을 접해보고 이문제면 이게 답이다 라는 정도가 되면

필기는 매우 간단하게 통과 하실 수 있으실겁니다!

 

2회정독 + 5개년도 모의고사13 4를 풀어보는데 한달의 시간을 소효하였고, 일 공부시간은 3시간?4시간 이였던거 같습니다!

 

4. 실기 시험

실기시험의 경우 난이도가 상당하다라고 나와있습니다.

 

필자가 응시한 시험의 경우 27퍼의 합격률이라는 통계가 나왔는데요.

 

필자가 분석해본 결과

1회차의 경우는 정말 쉽게 나올지 어렵게 나올지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만약 본인이 응시할 시험이 2회차나 3회차다?

그럼 난이도를 어느정도 예상 할 수 있습니다.

 

난이도를 분석하는 방법은 정말 쉽습니다.

 

1회차에 합격률이 높았다? -> 2회차가 어렵다

1,2회차가 합격률이 높았다? -> 3회차가 어렵다

1회차에 합격률이 낮았다? -> 2회차가 쉽다

1,2회차 합격률이 평균 20~30퍼 사이다? -> 3회차가 쉽다

 

한해에 너무 많은 합격자를 배출하면 안되기때문에 3회차에 나누어서 각각의 시험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합격자를 조절하기 때문에

이런식으로 판단하면 될것같습니다.

 

필자는 막 너무 어려운 수준은 아니였지만 24년도 시험에 비하면 어려운 쪽에 속하는 시험이였습니다.

하지만 시험이 어렵다고 다음 시험을 준비 할 수는 없겠지요?ㅎㅎ

 

실기의 경우 필기보다 더 작은 범중에서 출제가 됩니다.

그렇기 떄문에 필기를 필자처럼 2회정도 정독을 했다면 다른 내용은 어렵지 않을것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프로그래밍 문제와, DB 쿼리문 작성등 실질적으로 계산을 해야하거나 구현을 해야하는 부분이 문제입니다.

 

필자는 1회차가 어려웠기 떄문에 집중한 부분은 실무에서 사용할만한 부분을 집중했습니다.

용어나 이론 같은것들은 외우면 할 수 있는 부분이라 해당 부분으로 난이도를 조절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떄문에 필자는 DB쿼리문, 코드 결과, RIP계산 등을 중점적으로 공부했고, 공부방법은 약 8개년도에 해당하는 기출 문제를 모두 풀어보고, DB나 구현 문제가 나올 경우 왜 해당 답안이 정답인지를 이해하는 방식으로 공부를 진행했습니다.

 

저는 실무의 경험이 이미 있는 상황이였기 때문에 사실 그렇게 어렵게 느껴지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정확하게 푸는것 이 문제였습니다.

실무에서는 잘못 작성해도 수정하면 그만이지만 시험은 한번 제출하면 끝이잖아요?ㅎㅎ

 

그렇기 떄문에 실기를 준비하시는 분들이라면 다음 순서를 지켜가며 준비하시면 2주?3주면 충분히 취득 할 수 있을거라고 믿습니다!

 

1. 전체적인 내용 훑어보기

2. DB, 구현, 계산 등이 들어가는 영역 집중적으로 다시 한번 정리하기

3. 기출 문제를 풀어보면서 WHY?에 대한 생각을 하며 접근하기
4. 틀린문제의 답에 대하여 왜 답인지를 이해하고, 가능하다면 직접 프로그램을 구현해서 수행해보기

5. 기출문제 n차 반복

 

위 단계를 거치게 되면 어느 순간 구현 문제는 바로 눈에 읽히는 수준이 될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꼭 구현, DB등 직접 프로그래밍을 하는 문제는 쉽게 넘어가지 말고 다시 한번 체크하고 진짜 내가 아는게 맞는지 확인해가며 공부를 하다보면 손쉽게 취득을 할 수 있을겁니다!

 

그럼 이만 허술한 정보처리기사 취득 후기 및 팁이였습니다!

반응형